'신화'에 빠져 허우적댑니까?   

2011. 5. 11. 09:30
반응형


먼저 아래의 이야기를 읽어 보기 바랍니다.

1960년대 미국과 구소련 간의 우주개발 경쟁이 치열했던 때의 일이다. 소련이 먼저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자 이에 자극을 받은 미국은 ‘우주’에 관련된 것이라면 어디든지 막대한 돈을 쏟아 부어 이내 소련을 따라잡았다.
 
이처럼 미국이 우주에 목을 매다시피 하고 있을 때 한 가지 문제가 터졌다. 무중력 상태에서는 볼펜이 나오지 않아서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에서 한 실험을 기록으로 남기지 못했던 것이다. 볼펜은 세워서 쓰는 동안 잉크가 중력에 의해 조금씩 써지는 것인데 무중력 상태에서는 잉크가 흘러 내려오지 않으므로 글씨를 쓸 수 없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곧바로 우주공간에서도 쓸 수 있는 볼펜 개발에 착수했다. 이름 하여 스페이스펜(spacepen) 프로젝트. 잉크가 든 대롱 뒤에 작은 압축공기 탱크를 달아 잉크를 공기가 밀도록 했다. 중력 대신 공기의 압력이 잉크를 펜 끝의 볼 쪽으로 밀어 붙여 글씨를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얼마 뒤 미국의 우주비행사가 소련 우주비행사를 만났다. 자랑도 하고 싶고, 궁금하기도 해서 스페이스펜을 꺼내 들고 물었다. “이거 1백 20만 달러를 들여 개발한 건데, 당신들은 우주공간에서 무엇으로 기록을 합니까?” 으스대는 미국 우주비행사를 물끄러미 바라보던 소련 우주비행사가 답했다.
 
“우린 연필로 쓰는데…..”

(출처 : '조직행동', 임창희)




이 글을 읽고 여러분은 무엇인가를 느꼈습니까? 몇 백원 짜리 연필이면 족한데 120만 달러나 되는 거액을 들여 스페이스 펜을 만든 NASA의 행동이 우스꽝스럽게 느껴졌을지 모르겠네요. 실용을 무시하고 '혁신을 위한 혁신'이란 함정에 빠지고 만 대표적인 사례라는 생각이 들었을 겁니다. 만일 여러분이 머리를 끄덕이며 이런 느낌과 생각을 가졌다면, 유감스럽게도 여러분은 잘못된 정보에 현혹된 것입니다.

스페이스 펜과 관련된 실제의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연필로 종이 위에 글씨를 쓰면 미세한 흑연 가루가 발생합니다. 연필을 사용하려면 칼로 깎아줘야 하는데 이때도 흑연 가루와 나무 가루가 발생하겠죠. 무중력 상태에서는 이 흑연 가루가 공간을 자유롭게 떠다니다가 기계 속으로 스며들 수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흑연 가루가 전도성을 띠기 때문에 정밀하게 돌아가야 할 우주선의 기계에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점을 사전에 알았던 NASA는 연필이 우주선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했죠. 소련에서도 연필을 사용한 적이 없고 일반 볼펜을 우주선에서 썼다고 합니다. 따라서 연필을 사용한다고 말한 소련 우주 비행사의 말은 와전된 것이거나, 미국 우주 비행사를 놀려 주기 위해 일부러 한 말일 가능성이 큽니다. 개발하는 데에 120만 달러나 들었다는 것도 허구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120만 달러가 아니라 20만 달러가 들었다고 하더군요. 20만 달러면 우주선에서 사용할 물품의 개발 비용 치고는 그리 높다고 볼 수 없죠.

사실 이런 반론들도 진짜 옳은 것인지 판단이 잘 서지 않습니다. 흑연이 우주선 기계에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야기를 제외한 다른 반론들이 틀렸을지 모르는 일이니까요. 하지만 원래의 이야기가 맞든 반론이 맞든 간에 우리가 깨달아야 할 점은 우리가 보고 듣는 정보와 지식을 비판적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영서나 자기계발서를 보면 독자들에게 교훈이나 감동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사례가 삽입되어 있는데, 실제와 다른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상상력이 지나치게 뛰어난 작가가 이야기의 재미를 극대화하고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해서 존재하지도 않은 스토리를 지어 내는 경우도 비일비재하죠. 어떤 작가가 특정 사례에 대해 '마사지'를 가하면, 그 책을 읽은 다른 작가가 거기에 상상력의 '살'을 붙여 확대 재생산하고, 그 이야기에 감동을 받은 독자들은 다른 이들에게 퍼 나르면서 스페이스 펜의 개발비용은 120만 달러가 되고 그렇게 거액을 쏟아부은 NASA 사람들은 바보가 되고 맙니다.

저도 처음에 위의 '스페이스 펜' 이야기를 들으면서 혁신을 위한 혁신을 경계해야 함을 일깨우는, 아주 좋은 사례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책에 인용을 해볼까도 생각했습니다. 트위터에 스페이스 펜 이야기를 올리니, 많은 분들이 실제와 다른 이야기라는 의견을 주었습니다. 그 분들의 멘션을 보면서 사람은 스토리에 굉장히 취약한 동물이고 나 역시 그런 한계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새삼 느꼈습니다.

그리고 좀 더 신중하게 사례의 진위 여부를 따져봐야겠다고 반성하게 됐죠. '엄밀한 증거(hard fact)'만이 옳은 의사결정과 판단을 이끈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새겼답니다. 믿음이 사실을 대신할 때 '나의 사고'는 빛을 잃고 몰락할 테니까요. 여러분이 지금 보고 듣는 모든 정보와 지식을 찬찬히 뜯어보고 검증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만이 '신화(myth)'라는 늪에 빠져 허우적대지 않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inFuture 아이폰 앱 다운로드       inFuture 안드로이드 앱 다운로드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