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내게 필요한 건 뭐?   

2009. 3. 10. 10:11
반응형

 

  인간에서 허락되지 않은 것은,
  '자신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아는 것'이다


  - 톨스토이 (L. N. Tostoi)



[주인장의 덧글]
대문호 톨스토이는 그의 단편소설인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서 천사의 입을 빌어 이렇게 말합니다. "인간의 내면에는 '사랑'이 있고, 인간은 사랑에 의해서만 온전히 살아갈 수 있다. 그러나 인간에게 허락되지 않는 것은 자신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깨달을 수 있는 지혜다."

다시 말해서, 인간들은 자신들에게 무엇이 절실하게 필요한지 모르고 인생을 헛살기 쉽다는 뜻입니다. 어떤 사람은 명예를 목표로 삽니다. 또 어떤 사람은 권력을 추구합니다. 그리고 또 어떤 이는 돈이 인생에 전부인 양 살아갑니다. 명예, 권력, 돈만 충족된다면 행복할 거라는 희망을 품고 삽니다. 우리는 대개 그 중 하나의 포로로 인생을 저당 잡히기 십상입니다.

그러나 톨스토이는 고개를 가로 저을 겁니다. 인생이 공장에서 일률적으로 찍어내는 일상품처럼 똑같지 않듯이, 자신에게 절실히 필요한 가치는 일반명사로 명명할 수 없는 그 무엇이어야 합니다. (그는 아마도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이라고 말하고 싶은 것 같습니다.)

톨스토이는 자신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분명하게 아는 것은 신이 인간에게 허락하지 않은 능력이라고 말하는 듯 합니다만, '지금 이순간 나에게 필요한 가장 절실한 것은 무엇인가'라는 스스로의 물음에 간절히 귀기울인다면, 명예나 권력이나 돈이 아닌, 정말로 자신에게 꼭 맞는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오늘 던져볼 질문입니다. 해답은 누군가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습니다. 스스로 찾아야 하죠. 당신의 인생은 당신 자신의 것이니까요.

반응형

  
,

퇴계로의 찢어진 치마   

2009. 3. 7. 00:28
반응형


퇴계로의 찢어진 치마


공연히 추웠다, 낮고 어둔 영상들이 헤드라이트에 흔들리고 깨졌다
예쁜 여자들의 치마가 펄럭였다
고운 냄새가 나는데 난, 그게 좋았다
도처에서 어둠보다 밝은 밤이 흥청거렸다, 난 또 그게 좋았다

퇴계로에는 퇴계가 없다고, 멋지게 깨닫는 순간
예쁜 여자들과 어둠보다 밝은 밤이 서로 부둥켜 안았다
그 풍경이 나는 좋았으며
사랑을 하기 위해서라면 추운 것은 다만 추운 것에 지나지 않았으며
사랑이란 갑작스런 추위 탓에 찾아온 쾌변의 즐거움 따위라 믿었다

헤드라이트의 섬광이 초속 30만 킬로미터로 쇄도하며 깨져 나갔다
깨진 것들이 처참히 널려 있었으며
그 피폭 속에 무수한 예쁜 다리들이 어지러이 명멸했다

그게 매우 좋았던 까닭은 표백된 그리움 따위보다 불안한 성욕이
내게는 사랑이었기 때문이었다
절실히 눈부신, 아픈 감각이기 때문이었다, 라고 난 믿었다

공연히 추운 날씨가 쾌변의 전초임을 알게 된 까닭은
퇴계로를 지나며 예쁜 여자들과, 그녀들의 냄새와, 반짝이는 다리들과,
초속 삼십만 킬로미터의 헤드라이트 불빛에 표백된 그리움,
혹은 애 둘 낳고 잘사는 첫사랑 때문이었다.

아니지, 그게 아냐
내 쾌변의 발원은, 어둠보다 밝은 밤의 도처에서
찢긴 치마를 끌어 당기며 눈물 흘리는
바로 당신의 쾌락 때문이었어
바로 당신의 찢어진 동정 때문이었어

찢어진 치마가 펄럭였다
난, 그 냄새가 매우 좋았다


*예전에 쓴 시를 개작함

반응형

'유정식의 서재 > [자작] 詩와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  (0) 2009.05.20
꽃피는 봄이 오면  (0) 2009.03.13
좋은 시간이 간다  (4) 2009.02.18
[imagism 11] Coin  (0) 2008.10.13
[imagism 10] You  (0) 2008.08.19

  
,

지금껏 쓴 책들을 돌아보며   

2009. 3. 6. 23:34
반응형

『경영유감』, 『스태핑』, 『컨설팅 절대 받지 마라』, 『경영, 과학에게 길을 묻다』, 『시나리오 플래닝』...2006년 이래로 지금까지 쓴 책이 모두 5권이 됐다(역서 1권 포함).

  • 2년 6개월만에 5권이니, 1권에 6개월씩 걸린 셈이다. 누구는 나더라 다작이라고 하고, 또 다른 누구는 과작이라고 말한다. 과작인지 다작인지 난, 잘 모르겠다.

  • 욕 먹은 책(뭔지 짐작이 갈 거다)도 있지만 대개 잘 썼다는 칭찬과 관심을 받았다. 덕분에 라디오 방송 4번과 케이블 TV 1번의 매스컴도 탔다. 허나 판매는 늘 저조했다. 왜일까? 난, 잘 모르겠다. 

  • 이 시점에서 내가 책을 쓰는 이유를 돌이켜 생각해 본다. 왜 나는 책을 쓰고 싶어 했을까? 무슨 목적이었을까? 명성, 홍보, 돈? 솔직히 난, 잘 모르겠다.

  • 이 책들을 다시 들여다 보면, 과연 내가 쓴 글인지 간혹 생경하다. '내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구나'라며 스스로 놀란다. 내 글인데 왜 남이 쓴 것 같을까? 그 이유를 난, 잘 모르겠다.

  • 6번째 책은 언제 나올 수 있을까? 몇몇 출판사에게 제안이 오긴 하는데, 뭔가가 내게 견딜 수 없는 동기를 주기 전까지는 끈덕지게 거부하고 싶다. 왠지 그래야만 할 것 같은데, 그 이유를 난, 잘 모르겠다.
 
   
 

   

 

반응형

'유정식의 서재 > [단상] 주저리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먼자들의 도시  (0) 2009.03.15
황사가 몰려온다!  (2) 2009.03.15
혹시 그는 사이코패스가 아닐까?  (4) 2009.02.17
혼자 영화를 보는 즐거움  (10) 2009.02.10
Daum 메인화면 캡처~  (4) 2009.02.05

  
,

생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하라   

2009. 3. 5. 10:00
반응형

 

  Think the Unthinkable!
  생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하라!

  - 허먼 칸 (Herman Kahn)



[주인장의 덧글]
허먼 칸은 현대적인 모습의 시나리오 플래닝을 처음 고안해 낸 미래학자입니다. 그는 그의 유명한 책 'Thinking about the Unthinkable'에서 열핵전쟁(thermonuclear war)의 위험을 시나리오를 통해 생생하게 보여줌으로써 정책입안자들이 취할 행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예견 중에 몇몇은 진짜 현실로 나타났죠. 인터넷과 유전공학의 발달을 예견했으니까요. 일본이 경제강국으로 성장한다는 것도 그의 예견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사실 그보다 많은 예견들이 오류로 판명되었습니다. 2000년이 되면 로봇이 가사를 돌볼 거라든지, 화성과 금성을 자유롭게 왕래할 거라든지가 가장 단적인 예입니다.

그의 예견 중 많은 것들이 엉터리라고 해서 그를 비난할 수는 없습니다. 그는 우리가 감히 생각할 수 없는 그림을 생각함으로써 풍부한 상상력의 세계로 우리를 인도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상상력을 실행에 옮기도록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몽상의 물리학자로 불리는 프리먼 다이슨은 우주 전체에 인간들이 퍼져 살게 될 거라고 주장하면서 '은하 녹화 사업'을 제안합니다. 말도 안 된다구요? 그건 우리의 후손들이 두고 볼 일입니다.

'설마 그렇게 되겠어?'라며 'Think only the Thinkable' 하지 마십시오. 오늘은 상상을 압박하는 구속복을 벗어 던지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하는 하루가 되십시오.



반응형

  
,

시나리오 플래닝은 미래학이 아니다   

2009. 3. 4. 22:17
반응형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도구로서 시나리오 플래닝을 고객들에게 소개하는 컨설턴트의 입장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으면 무척 당혹스럽다

"앞으로 우리 회사나 산업이 어떻게 될 것 같습니까?"
"내가 OO에 집을 사려는데, 괜찮을 거 같아? 시나리오 플래닝하면 답이 나오지 않을까?"

당황스럽지만 자주 듣는 질문이긴 하다. 사람들이 이런 질문을 던지는 이유는 미래를 예견하기 위한 또 하나의 도구로 시나리오 플래닝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시나리오 플래닝을 미래학(未來學)과 동일시하기 이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나리오 플래닝은 결코 미래학(Futurology)이 아니다.

엘빈 토플러나 존 나이스비트와 같은 미래학자들이 왕성한 활동을 하면서 일반인들은 미래학을 친근하게 받아들였다. 토플러의 '제3의 물결'이나 '권력 이동'과 같은 책이 나왔을 때 우리는 얼마나 열광했던가!

미래학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과거 또는 현재의 상황을 바탕으로 미래사회의 모습을 예측하고,
그 모델을 제공하는 학문 
(출처 : 두산백과사전)

이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미래학은 과거와 현재의 상황을 통해서 미래를 예측하는 학문이다. 우리가 막연하게 불안하게 생각하는 미래를 확실한 모습으로 보여줌으로써 사람들의 행동이나 판단에 기여하기 위한 학문이다.

미래학이 이런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 사이의 환경에서 불확실성이 작은 요소, 즉 '트렌드'를 발굴하는 과정을 거친다. 문헌 연구, 전문가 인터뷰, 데이터 분석 등의 스킬을 동원해서 미래의 거대한 흐름을 형성하는, 변하지 않는 몇 가지 키워드를 찾아낸다. 미래엔 지식노동자들이 대접 받을 거라든지,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강화될 거라든지 등이 미래학의 아웃풋들이다.

이와는 달리, 시나리오 플래닝은 불확실성이 큰 요소가 무엇인지에 관심을 둔다. 왜냐하면 시나리오 플래닝은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도구가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시나리오 플래닝 과정을 하면서 불확실성이 매우 작은 요소(즉, 트렌드)가 발견되기도 하지만, 이렇게 될 수도 저렇게 될 수도 있는(즉, 불확실성이 큰) 요소가 관심의 대상이다. 애당초 시나리오 플래닝은 확실한 모습을 전달하기 위한 기법이 아니다.

대신에 시나리오 플래닝은 우리의 미래가 여러 개의 시나리오로 펼쳐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 미래학자들은 가능성이 가장 큰 미래만 상정하지만(실제로 현실화되는지 여부는 차치하고), 시나리오 플래닝은 여러 개의 시나리오가 동일한 가능성을 지닌다고 말한다. 미래학자들의 저작에서처럼 확언하듯 미래를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미래의 여러 시나리오들에 대비하는 것이 시나리오 플래닝의 목적이고 가치다.

정리하면, 미래학은 트렌드에 집중하고, 반면에 시나리오 플래닝은 불확실성에 집중한다. 따라서 시나리오 플래닝은 미래를 다룬다는 점에서 미래학과 통하는 면이 있지만 결코 동일한 게 아니다. 이런 이유로 시나리오 플래닝의 대가로 소개되는 피터 슈워츠가 미래학자로 불리는 것은 애석한 일이다. 그의 예견이 딱 들어맞은 게 아니라, 그가 만든 여러 시나리오들 중에 하나가 적중한 것인데 사람들은 그를 미래 예측의 대가로 여기니까 말이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