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드니스'가 사랑스러운 심리학적 이유   

2015. 8. 7. 09:04
반응형



화제의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을 본 적이 있습니까? 알다시피 이 만화영화는 기쁨, 슬픔, 역겨움, 소심함, 분노라는 5가지 감정이 사람의 말과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을 코믹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만화영화를 보면서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기쁨(Joy)은 좋은 것이고 슬픔(Sadness)는 좋지 않은 것”이라는 생각이 과연 옳은지, 어린이를 타겟으로 한 만화영화가 이토록 심오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는 사실은 마치 뒤통수를 가격 당하듯 저에게 강한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영화 속에서 항상 즐거운 ‘조이’가 ‘새드니스’가 바깥에 나오지 못하도록 원을 그리는 장면은 사람들이 ‘얼마나 슬픔을 부정적으로 여기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죠. 슬픔은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감정이고, 슬픔을 비롯한 모든 감정이 어우려져 인생이 완성된다는 것으로 이 만화영화를 매듭지을 수 있습니다.



(source: 만화영화 '인사이드 아웃'에서)



슬픔은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가지 심리 연구를 통해 규명된 바 있습니다. 이 주제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온 호주의 심리학자 조셉 P. 폴개스(Joseph P. Forgas)는 슬픔이 상대방을 설득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혔습니다. 그는 59명의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10분짜리 코메디 동영상과 암으로 죽어가는 사람의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보여줌으로써 즐거운 감정과 슬픈 감정을 유도해 냈습니다. 그런 다음, 학생들에게 ‘대학 등록금 인상’과 ‘호주 원주민들의 권리 인정’이라는 이슈에 대해 찬성 입장과 반대 입장으로 누군가를 설득하는 문장을 적어 내도록 했습니다. 


실험의 목적을 알지 못하는 두 명의 평가자에게 학생들이 제출한 문장의 설득력과 구체성을 평가하게 했더니, 슬픈 감정으로 유도된 참가자들이 즐거운 감정에 젖은 참가자들보다 설득력과 구체성 모두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이슈에 대해 찬성 입장이든 반대 입장이든 일관되게 이런 결과가 나왔죠. 



(source: 만화영화 '인사이드 아웃'에서)



슬픈 감정이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은 폴개스의 두 번째 실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번에는 125명의 참가자 스스로 과거에 경험했던 사건을 적어 내도록 함으로써 즐거운 감정, 슬픈 감정, 중립적인 감정을 유도하는 방법을 썼습니다. 그리고 ‘호주는 공화국이어야 한다’ 등의 이슈에 찬성 입장이거나 반대 입장으로 역시 누군가를 설득하는 문장을 쓰도록 했죠. 설득력을 평가하니, 중립적인 감정의 참가자보다 슬픈 감정의 참가자들 점수가 더 높았고, 즐거운 감정의 참가자들 점수가 가장 낮았습니다. 문장의 구체성을 평가한 결과도 동일하게 나타났죠.


슬픈 감정이 문장의 설득력으로만 좋은 효과를 내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폴개스는 슬픈 감정에 싸인 사람이 실제로 타인의 입장을 더 크게 변화시킨다는 점을 후속 실험으로 규명했습니다. 폴개스는 ‘슬픔의 긍정성’을 주제로 여러 연구를 했는데, 행복감이 고양된다고 해서 다른 사람에게 너그러워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과, 슬픈 감정이 오히려 다른 사람을 공정하게 대하게 만든다는 점을 밝혔죠. <인사이드 아웃>에서 ‘새드니스’에 의해 주인공의 문제가 좋은 방향으로 풀리는 것이 영화적인 설정이 아니라 이렇게 심리적인 근거가 있었던 겁니다.


설득하기 위해 일부러 슬퍼질 필요는 없겠지만, 이제는 슬픔을 부정적으로 보지 마세요. 만화영화 속 새드니스란 캐릭터처럼 슬픈 감정을 우리는 귀엽게 볼 필요가 있답니다.



(*참고논문)

Forgas, J. P. (2007). When sad is better than happy: Negative affect can improve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persuasive messages and social influence strategi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3(4), 513-528.



반응형

  
,